개인 공부 공간/Linux(2)
-
Linux 기초 명령어 정리(1)
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에서 사용되는 기초적인 명령어들을 정리하고자 한다. ping ping 홈페이지 주소 를 입력하면 특정 홈페이지에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인터넷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. du du 는 disk use의 약자로 각 폴더들의 디스크 사용 용량을 알 수 있다. 뒤에 -h 를 설정해주면 용량이 표시되는 단위를 보여주고(default는 kilobyte) max-depth=1 을 설정해주면 현재 위치의 최상위 폴더들만 표시해준다. df df 는 disk free의 약자로 현재 남아있는 디스크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. ls -al ls -al 는 디렉토리의 내용을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. 결과앞의 알파벳 중 w(write)는 쓰기 권한, r(read)는 읽기 권한을 의미..
2021.03.15 -
완전 초보자를 위한 Linux 명령어
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의 아주 기본적인 명령어들과 이를 이용해서 본인의 Github에 업로드 하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. 이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Git Bash라는 컴퓨터 OS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리눅스 베이스 터미널용 Git이 필요하다. Git Bash는 Git을 download하면 자동으로 설치가 된다. git Git Bash를 실행시킨 후 git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git 내부에 있는 명령어들을 보여준다. ls ls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폴더의 파일을 보여준다. pwd pwd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폴더의 위치를 보여준다. cd [디렉토리명] cd [디렉토리명]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한 디렉토리로 현재 위치를 변경한다. git clone git c..
2021.03.15